대표자 | 정형락, 제후석 (각자 대표) | 계열명 | 두산 |
---|---|---|---|
설립일 | 2019/10/01 | 상장일 | 2019/10/18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100원 |
보통주 | 65,494천주 | 우선주 | 16,350천주 |
유동주식 | 40,173천주 | 유동비율 | 61.34% |
대표번호 | 02-3398-3898 | IR담당 | - |
---|
종가/전일대비 | 33,300/+250원(+0.75%) |
---|---|
52주 최고/최저 | 41,950/24,450원 |
수익률(1M/3M/6M/1Y) | -1.91/ +8.82/ +10.63/ -17.68%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23,387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21,809억원 |
거래량 | 290,313주 |
거래대금 | 95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15.97% |
베타(1년) | 1.51209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두산에너빌리티(외 14인) | 24,780,395 | 37.84 |
국민연금공단 | 4,243,273 | 6.48 |
두산퓨얼셀우리사주 | 529,064 | 0.81 |
자사주 | 11,047 | 0.02 |
문형원 | 3,137 | 0.00 |
동사의 핵심 사업은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매출 비중은 최근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기자재 공급 75% 및 장기유지보수서비스 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임. 미래성장을 위하여 익산공장 PAFC 생산시설 증설에 착수하였고, 차세대 SOFC 시스템 개발 및 생산설비 구축을 진행.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8.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당분기 기자개 매출은 소폭 증가에 그치며 유지보수서비스의 매출비중이 49% 수준으로 급격히 올라옴. 동사는 미래 성장을 위해 익산공장 PAFC(인산형 연료전지) 생산시설 증설 및 차세대 SOFC 생산설비를 구축중이며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시행에 따라 향후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확대가능성 있음.
*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