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 이수완 | 계열명 | 덕산 |
---|---|---|---|
설립일 | 2006/03/16 | 상장일 | 2019/08/02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500원 |
보통주 | 20,477천주 | 우선주 | 0 |
유동주식 | 10,503천주 | 유동비율 | 51.29% |
대표번호 | 041-903-9700 | IR담당 | - |
---|
종가/전일대비 | 16,290/-80원(-0.49%) |
---|---|
52주 최고/최저 | 55,500/15,050원 |
수익률(1M/3M/6M/1Y) | -9.85/ -22.98/ -47.87/ -70.00%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3,336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3,336억원 |
거래량 | 105,885주 |
거래대금 | 17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4.65% |
베타(1년) | 1.49958 |
종가(NXT) | 16,090원 |
거래량/거래대금(NXT) | 69,205주 / 11억원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덕산산업(외 4인) | 9,732,996 | 47.53 |
자사주신탁 | 49,775 | 0.24 |
동사는 2006년 전자부품 제조업으로 설립되어 2019년 코스닥 상장하였으며, 3개의 비상장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음. OLED 발광재료 중간체, 2차전지 소재, 합성고무용 소재 등 전자재료 소재의 유무기 합성을 전문으로 하는 Fine Chemical 부문을 영위함. 고품질 원재료 구매능력과 높은 수율을 바탕으로 고객사와의 협업을 통한 빠른 대응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5% 감소, 영업손실은 98.2% 증가, 당기순손실은 140.6% 증가. 반도체·OLED 소재 수요 감소와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매출이 감소하고 원가 부담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하반기 메모리 시장 회복 및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로 OLED 소재 수요 증가가 기대됨.
*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