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 박지원, 정연인, 박상현 | 계열명 | 두산 |
---|---|---|---|
설립일 | 1962/09/20 | 상장일 | 2000/10/25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5,000원 |
보통주 | 638,308천주 | 우선주 | 0 |
유동주식 | 423,875천주 | 유동비율 | 66.41% |
대표번호 | 055-278-6114 | IR담당 | - |
---|
종가/전일대비 | 16,510/-240원(-1.45%) |
---|---|
52주 최고/최저 | 22,700/12,600원 |
수익률(1M/3M/6M/1Y) | +1.73/ +5.50/ -4.57/ -23.92%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105,385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105,385억원 |
거래량 | 4,702,727주 |
거래대금 | 780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12.35% |
베타(1년) | 1.29066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두산(외 26인) | 196,452,737 | 30.78 |
국민연금공단 | 34,935,792 | 5.47 |
두산에너빌리티우리사주 | 17,884,443 | 2.80 |
자사주 | 95,978 | 0.01 |
나기용 | 40,725 | 0.01 |
손승우 | 26,784 | 0.00 |
동사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됨. 2022년 3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함.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중공업), 건설중장비 및 엔진(두산인프라코어), 토목과 건축공사(두산건설) 등의 사업을 영위중임. 17,000톤 프레스 도입으로 발전과 산업 분야의 초대형 단조품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임.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6% 증가, 영업이익은 20.9%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에너빌리티, 밥캣 매출 증가와 이자비용 절감을 통해 영업외수지 개선했음에도 두산메카텍, 두산밥콕 매각 등으로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자체 기술을 통한 국내 무탄소 시장 진입 추진 중. 원료 공급사 협력을 통하여 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급속도로 성장하는 리튬전지 시장에 적극 참여 예정.
*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