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 한종희, 경계현 | 계열명 | 삼성 |
---|---|---|---|
설립일 | 1969/01/13 | 상장일 | 1975/06/11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100원 |
보통주 | 5,969,783천주 | 우선주 | 822,887천주 |
유동주식 | 4,490,142천주 | 유동비율 | 75.21% |
대표번호 | 031-200-1114 | IR담당 | 02-2255-9000 |
---|
종가/전일대비 | 68,100/+500원(+0.73%) |
---|---|
52주 최고/최저 | 82,900/64,800원 |
수익률(1M/3M/6M/1Y) | +2.10/ -8.34/ -2.99/ -14.45%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4,564,091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4,065,422억원 |
거래량 | 16,486,319주 |
거래대금 | 11,226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50.77% |
베타(1년) | 0.98108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삼성생명보험(외 16인) | 1,241,174,813 | 20.79 |
국민연금공단 | 518,509,578 | 8.69 |
BlackRock Fund Advisors(외 15인) | 300,391,061 | 5.03 |
이병철 | 408,650 | 0.01 |
서병삼 | 70,300 | 0.00 |
윤주화 | 66,000 | 0.00 |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됨.
2021년 Neo QLED TV, 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제품과 플래그십 휴대폰, 고용량 메모리와 OLED 패널 등의 판매확대로 사상최대 실적을 경신함. IM부문은 코로나19의 장기화, 부품공급 부족사태 등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와 운영효율 제고를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하는견조한 실적. 반도체사업은 서버 및 모바일용 고용량 제품 등 부품수요 증가로 매출액은 전년 대비 29.2%, 영업이익은 55.3% 늘어남.
*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