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 오영주, 박진 | 계열명 | 삼화콘덴서 |
---|---|---|---|
설립일 | 1956/08/14 | 상장일 | 1976/06/26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1,000원 |
보통주 | 10,395천주 | 우선주 | 0 |
유동주식 | 7,335천주 | 유동비율 | 70.56% |
대표번호 | 031-332-6441 | IR담당 | 031-332-6441 |
---|
종가/전일대비 | 37,500/-100원(-0.27%) |
---|---|
52주 최고/최저 | 49,500/29,500원 |
수익률(1M/3M/6M/1Y) | +13.29/ -4.58/ -14.77/ +1.90%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3,898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3,898억원 |
거래량 | 14,884주 |
거래대금 | 6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5.42% |
베타(1년) | 1.27896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오영주(외 3인) | 2,926,243 | 28.15 |
자사주 | 134,000 | 1.29 |
삼화콘덴서우리사주 | 183 | 0.00 |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 관계 유지로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 영업이익은 18.4% 감소, 당기순이익은 24.4% 감소. 콘덴서의 주재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환율 상승이 클 경우에는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어 주요 원자재의 국내공급을 늘리고 있으며 또한 자체 생산을 꾸준히 늘려갈 계획임. 신규 사업으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진행 중임.
*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