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 | 오영주, 박진 | 계열명 | 삼화콘덴서 |
---|---|---|---|
설립일 | 1956/08/14 | 상장일 | 1976/06/26 |
결산월 | 12월 결산 | 액면가 | 1,000원 |
보통주 | 10,395천주 | 우선주 | 0 |
유동주식 | 7,335천주 | 유동비율 | 70.56% |
대표번호 | 031-332-6441 | IR담당 | 031-332-6441 |
---|
종가/전일대비 | 42,600/+1,600원(+3.76%) |
---|---|
52주 최고/최저 | 61,700/29,000원 |
수익률(1M/3M/6M/1Y) | +12.25/ +29.09/ -1.73/ -29.47% |
시가총액(보통+우선+상장예정) | 4,428억원 |
시가총액(보통주) | 4,428억원 |
거래량 | 136,232주 |
거래대금 | 57억원 |
외국인 보유비중 | 5.61% |
베타(1년) | 1.48804 |
주주명 | 보통주(주) | 지분율(%) |
---|---|---|
오영주(외 3인) | 2,926,243 | 28.15 |
자사주 | 134,000 | 1.29 |
삼화콘덴서우리사주 | 183 | 0.00 |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은 20.9% 감소, 당기순이익은 13.9% 감소. 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전환으로 부품 수요 증가 예상되어 MLCC 자동차 사업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됨. 중전기 분야에서 동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연되었던 신규 및 보수분 투자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 확대 전망함.
* 단위 : %